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France national rugby union team
Équipe de France de rugby à XV
별칭레 블뢰 (Les Bleus)[1]
소속단체프랑스 럭비 연맹
감독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비앙 갈티에 (Fabien Galthié)
주장앙투안 뒤퐁 (Antoine Dupont)
최다 출전자파비앙 펠루 (Fabien Pelous) 118회
최다 득점자프레데릭 미샬락 (Frédéric Michalak) 436점
최다 트라이세르주 블랑코 (Serge Blanco) 38회
홈 구장스타드 드 프랑스 (Stade de France)
첫 국제경기VS 뉴질랜드 (8:38 패), 1906년 1월 1일
최다 점수차 승VS 나미비아 (96:0 승), 2023년 9월 21일
최다 점수차 패VS 뉴질랜드 (10:61 패), 2007년 6월 9일
럭비 월드컵10회 출전, 준우승 3회(1987, 1999, 2011)
월드 럭비 랭킹최고 1위(2022) / 최저 10위(2018)
역대 전적810전 447승 33무 330패 (55.2%)[2]

1. 개요
2. 인기
3. 역대 전적
3.1. 감독별 전적
3.2. 주요 대회 성적
3.3.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
5. 유니폼
6. 선수단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프랑스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프랑스영연방 소속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럭비의 인기가 상당히 많다. 비영연방 국가중 럭비 월드컵에서 유일한 결승 진출국으로 1987, 1999, 2011 대회 준우승 3번으로 최다 준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고, 초대 올림픽 럭비 금메달 국가다. 1987년 첫 월드컵 결승에서 뉴질랜드에게 9-19, 1999년 결승에서 호주에게 12-35로 참패했던 것과 달리 2011년 뉴질랜드 대회 결승전은 두고두고 아쉬웠는데, 결승에서 최강의 팀 뉴질랜드에게 7-8로 졌을 정도로 선전했기 때문이다. 그밖에 1995, 2003, 2007년 월드컵 4강에 진출할 정도로 실력이 좋다. 앙숙인 잉글랜드에서 만들어진 스포츠임에도 (축구와 갈이) 종목에 대한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

특이하게도 럭비의 종주국은 잉글랜드인데 국제경기 횟수는 프랑스가 가장 많다.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과의 경기는 "Le Crunch"라고 하며, 유럽 최고의 라이벌 매치로 손꼽힌다.


2. 인기[편집]


잉글랜드와 앙숙이자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는 프랑스에서 럭비는 프로 럭비 클럽 대회인 'TOP 14'[3] 평균 관중수가 1만 5천명에 육박할 정도로 상당히 인기가 많으며 강호이다. 이민자들이 많은 프랑스에서 아프리카계 흑인과 중동 이민자들에게는 축구가, 주로 백인들에게는 럭비가 인기 있다. 물론 백인들도 축구를 좋아하지만, 럭비축구와 달리 유색인종을 찾아보기 힘들만큼 특히 백인들에게 더욱 인기가 많다. 그래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랑스 대표팀에도 유색인종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물론 절반 이상은 여전히 백인.
북반구 최대의 럭비 행사인 Six Nations 챔피언십에 참가하고 있고 2022년 영예의 전승 우승을 달성한다. 국제 경기가 열리면 경기장은 항상 만석이다. 이런 인기와 함께 인프라도 좋아서 2007년, 2023년 럭비 월드컵을 유치 및 개최하기도 했다.

2007년 월드컵 당시 장 마리 르 펜을 비롯한 프랑스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많은 흑인이 포함된 프랑스 축구 대표팀보단 순수 백인으로 이뤄진 럭비 대표팀이야말로 진정한 프랑스 대표팀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하며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프랑스 축구 대표팀의 경우 프랑스 태생의 백인 선수는 유색인종에 비해 확실히 적은 반면, 럭비는 한때, 대부분이 프랑스 태생 백인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진정으로 프랑스를 대표하는 스포츠는 축구가 아니라 럭비라고 여기는 의식이 프랑스 국민들 사이에 깔려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옛말이 되어버렸다. 이젠 프랑스 럭비 대표팀에도 카메론 워키,페아토 모바카,위니 아토니오,가엘 피쿠, 조나탕 당티, 요랑 모에파나,로맹 타오피페누아같이 흑인이나 마오리 출신 이민자 비백인 선수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백인우월주의자들도 닥치고 프랑스 럭비 대표팀 찬양을 하지 않게 되었다.

국대 말고도 클럽 럭비 역시 강호다운 프랑스라 럭비 챔피언스리그 격인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에서도 종주국 잉글랜드를 제치고 최다 결승진출에 최다 우승을 이룩한 럭비 강호이다. 그렇기에, 정작 국대에서 럭비 월드컵 우승을 1번도 못하는 아쉬움을 그만큼 가지고 있다. 2015년 대회에선 8강에서 뉴질랜드에게 13:62라는 역대급 대참패로 탈락하며 럭비 월드컵 최다 실점패를 당했고, 2019년과 2023년 대회까지 8강에서 탈락했다. 특히나 2007 럭비 월드컵 프랑스에서 4위에 그친 데 이어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에서도 8강에서 남아공에게 1점차로 분패하여 자국 개최 대회 2번 모두 결승조차 못 갔다.




3. 역대 전적[편집]


2023 럭비 월드컵 8강 탈락 시점을 기준으로 함.


3.1. 감독별 전적[편집]


이름기간총전적승률
아마추어 시대1964~1995270전157승18무95패58.1%
장 클로드 스클라1995~199952전34승18패65.4%
베르나르 라포르트1999~200798전62승2무34패63.3%
마키 리에브르몽2007~201145전27승18패60%
필리프 생탕드레2011~201545전20승2무23패44.4%
기 노베스2015~201721전7승1무13패33.3%
자크 브뤼넬2017~201924전10승1무13패41.7%
파비앙 갈티에2019~45전36승9패80%
라파엘 이바녜스[4]20221전1승100%
프로 시대 평균59.5%
역대 감독 평균58.9%
1990년부터 꾸준히 6할대 감독만 겪다가 2011년 월드컵 준우승 이후 갑작스레 찾아온 길고 깊은 암흑기에 빠진다. 랭킹도 10위까지 추락한다. 프랑스의 끝모를 부진이 8년 가까이 지속되다가 파비앙 갈티에 감독이 취임하여 반전의 기회가 생겼다. 2020,21년 첫 20경기에서 14승 6패로 상당히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대체 무슨 마법을 부렸는지 2021년 마지막 경기인 뉴질랜드전에서 갑자기 기량이 폭발하더니 천하의 뉴질랜드를 압도하며 40:25로 꺾고 2022년 식스 네이션스 그랜드 슬램과 함께 10전 전승으로 시즌을 마무리한다. 잠깐이지만 세계랭킹 1위에 등극하고 현재는 간발의 차이로 2위를 유지 중이다.[5] 2022년은 아일랜드와 함께 세계 럭비를 제패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2023년은 자국에서 개최한 월드컵에서 우승 후보다운 강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쉽게도 8강에서 탈락했다. 상대가 하필 남아공이어서 그렇지, 엄청난 강팀임은 분명하다.


3.2. 주요 대회 성적[편집]


럭비 월드컵
연도개최국최종 순위비고
1987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준우승결승전 vs 뉴질랜드(9:29)
199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8강조별리그 3전 전승
8강전 vs 잉글랜드(10:19)
1995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3위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남아공(15:19)
1999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준우승조별리그 3전 전승
결승전 vs 호주(12:35)
2003파일:호주 국기.svg 호주4위조별리그 4전 전승
4강전 vs 잉글랜드(7:24)
3/4위전 vs 뉴질랜드(13:40)
200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4위4강전 vs 잉글랜드(9:14)
3/4위전 vs 아르헨티나(10:34)
2011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준우승결승전 vs 뉴질랜드(7:8)
201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8강8강전 vs 뉴질랜드(13:62)
201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8강조별리그 3전 전승[6]
8강전 vs 웨일스(19:20)
202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8강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남아공(28:29)
누구는 12년마다 우승하는데 여기는 12년마다 준우승했다. 게다가 2023년은 자국에서 개최한 대회임에도 8강에서 탈락해 이 공식마저 깨졌다.

파이브 네이션스 (1910 ~ 1931 / 1940 ~ 1999)
참가국우승그랜드 슬램트리플 크라운우든 스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3회11회16회10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23회6회11회6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0회6회9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1회3회3회15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11회1회4회15회
식스 네이션스 (2000 ~ )
참가국우승그랜드 슬램트리플 크라운우든 스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7회2회5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6회4회5회1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6회4회1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5회3회7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4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8회
식스 네이션스는 2022년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다. 12년만의 우승이자, 12년만의 그랜드 슬램. 길고 긴 암흑기를 지나 비로소 왕좌에 올랐다.


3.3. 국가별 상대전적[편집]


상대국총전적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63전14승[7]1무48패22.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46전12승6무28패26.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10전43승7무60패39.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52전21승2무29패40.4%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103전49승3무51패47.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02전59승3무40패57.8%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102전59승7무36패57.8%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6전4승2패66.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53전38승1무14패71.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50전40승2무8패8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7전6승1무85.7%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5전13승2패86.7%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8전7승1패87.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9전8승1패88.8%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11전10승1패90.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48전45승3패93.8%
그외[8]14전14승100%


4. 개인 기록[편집]


타이틀이름포지션기록기간/시점비고
최다 출전파비앙 펠루118회1995~2007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티에리 뒤소투아르플랭커56회2009~2015
최다 트라이세르주 블랑코풀백38회1980~1991경기당 0.41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필립 베르나살르경기당 0.63개1992~2001총 26회
최다 득점프레데릭 미샬락플라이하프436점2001~2015경기당 5.56점[9]
한 경기 최다 득점디디에 캄베라베로풀백30점1987.6.2vs 짐바브웨
한 경기 최다 트라이모리스 셀레4개1937.10.17vs 이탈리아
최연소 출전클로드 두트센터18세 7일1966.11.27vs 남아공
최고령 출전알프레드 로크프롭37세 329일1963.1.12vs 스코틀랜드


5. 유니폼[편집]


프랑스 삼색기를 상징하는 옷을 입는다. 상의 파랑, 바지 하양, 양말 빨강으로 무난하게 가거나, 파란 바탕에 하얗고 붉은 줄, 하얀 바탕에 파랗고 붉은 줄을 넣는 형태도 자주 채택한다. 2011-12시즌의 파란색 그라데이션같은 독특한 디자인도 가끔 나온다.
연도장비 제작유니폼 스폰서
1970~1975르꼬끄 스포르티브-
1976~1979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1980~1986르꼬끄 스포르티브[10]
1986~1998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1998~2012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키
2012~2018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2018~2024르꼬끄 스포르티브알트라드


6. 선수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2022-23 시즌 선수 명단
소속팀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후커가에탕 바를로Gaëtan Barlot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후커쥘리앙 마르샹Julien Marchand
파일:라싱 92 로고.png후커테디 보비녜Teddy Baubigny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프롭위니 아토니오Uini Atonio뉴질랜드 출신[1]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프롭클레망 카스테Clément Castets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프롭시필리 팔라테아Sipili Falatea왈리스 푸투나 출신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프롭모하메드 하우아Mohamed Haouas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프롭시릴 바유Cyril Baille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프롭르다 와르디Reda Wardi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바스티앙 샬뤼로Bastien Chalureau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토마 라보Thomas Lavault
파일:리옹 OU 로고.png로맹 타오피페누아Romain Taofifenua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토마 졸메Thomas Jolmès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폴 윌랑스Paul Willemse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백 로우그레고리 알드리트Grégory Alldritt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백 로우알렉상드르 베코녜Alexandre Bécognée
파일:리옹 OU 로고.png백 로우딜랑 크레탱Dylan Cretin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백 로우앙토니 젤롱Anthony Jelonch
파일:석시옹 팔루아즈 로고.png백 로우프랑수아 크로스François Cros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백 로우세쿠 마칼루Sekou Macalou
파일:RC 툴로네 로고.png백 로우샤를 올리봉Charles Ollivon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백 로우알렉상드르 루마Alexandre Roumat
파일:리옹 OU 로고.png스크럼하프밥티스트 쿠유Baptiste Couilloud
파일:라싱 92 로고.png스크럼하프놀랑 르가렉Nolann Le Garrec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스크럼하프앙투안 뒤퐁Antoine Dupont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플라이하프앙투안 아스투아Antoine Hastoy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플라이하프마티유 잘리베르Matthieu Jalibert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플라이하프로맹 은타막Romain Ntamack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센터피에르루이 바라시Pierre-Louis Barassi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센터쥘리앙 델부아Juilen Delbouis
파일:라싱 92 로고.png센터가엘 피쿠Gael Fickou
파일:석시옹 팔루아즈 로고.png센터에밀리앙 가예통Émilien Gailleton잉글랜드 출신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센터요랑 모에파나Yoram Moefana왈리스 푸투나 출신
파일:리옹 OU 로고.png에탕 뒤모르티에Ethan Dumortier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루이 비엘비아레Louis Bielle-Biarrey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마티 르벨Matthis Lebel
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다미앙 프노Damian Penaud
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가뱅 빌리에르Gabin Villière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풀백로맹 뷔로Romain Buros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풀백멜빈 자미네Melvyn Jaminet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풀백토마 라모스Thomas Ramos
구단 정보
코치진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비앙 갈티에 (Fabien Galthié) / 매니저: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파엘 이바녜스 (Raphaël Ibañez) / 스크럼 코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윌리앙 세르바 (William Servat) / 라인 코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카랭 게잘 (Karim Ghezal) / 백스 코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비 (Laurent Labit) / 수비 코치: 파일:영국 국기.svg 숀 에드워즈 (Shaun Edwards)
경기장
홈 구장: 스타드 드 프랑스 (Stade de France)
[1] 사모아 U-20 대표팀으로 뛰기도 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9:11:29에 나무위키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The Blues.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애칭으로도 쓰인다.[2] 2023년 10월 15일 기준, 출처[3] 프랑스 럭비 클럽 대회인 TOP 14은 축구 리그앙의 PSG같은 팀들은 아시아 및 남미팬들도 많기에 관중석에는 직관하는 유색인종들이 많은 반면에, 럭비의 관중 대부분은 유색인종을 찾아보기 힘든 것을 고려해 본다면 럭비의 인기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 축구의 리그 1 평균 관중수는 2만 2천명에 달한다.[4] 2022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갈티에 감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임시로 한 경기만 맡았다.[5] 아일랜드가 뉴질랜드와 일정이 잡히며 점수를 쭉쭉 뽑을 때 프랑스는 일본이나 상대하고 있었던 것이 주된 이유다.[6] 태풍으로 빅매치인 잉글랜드전 무승부 처리[7] 2021년, 2023년에 1번씩 이겨 2연승을 달리고 있다.[8] 조지아, 사모아, 체코, 나미비아, 코트디부아르, 짐바브웨, 우루과이[9] 플라이하프 치고 굉장히 적은 편이다. 10년정도 주전으로 꾸준히 뛰면 많게는 1000점 이상 한다.[10] 1985년 파이브 네이션스 한정으로 나이키가 후원했다